본문 바로가기

주식&재테크&경제정보/재테크&경제정보

[호주 환율] 최근 하락 이유와 10월 호주 환율 전망(기술적 분석)

반응형

 

최근 1년 호주 환율 변화/ 다음 호주 환율

 

 

 9월 초 870원대까지 올랐던 호주 환율이 9월 26일 현재 826원으로 지난 고점 대비 약 5.5% 떨어졌습니다. 지난 6월 830원대 들어선 호주달러/원화 환율이 약 3개월에 걸쳐 870원대 까지 상승하였지만, 한 달 사이에 다시 820~830원대로 하락하였습니다. 지난주 수요일부터 지속 하락하던 환율은 오늘까지 총 8일 동안 하락하였네요. 그마나 최근 하락폭이 조금 둔화되기는 하였습니다. 지난 3월 이후 워낙 가파르게 올라가던 호주 환율이었기에 떨어지는 폭도 상대적으로 크게 느껴지기는 하지만, 최근 1년 만을 놓고 보자면 아직 1년 전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기는 합니다.

 저번까지는 경제 환경등을 보며 호주 환율이 어떻게 변하게 될지 알아봤지만, 이번에는 관련 지표들을 보며 호주 환율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호주달러 떨어진 이유는?

 

 

 저번 포스팅에서 이야기 드린 것처럼 호주달러는 재정환율로 결정된다고 이야기드렸습니다. 즉 호주달러는 원화/미국 달러 환율에 호주달러/미국 달러 환율을 곱하는 방식으로 결정됩니다. 

 

 위 표를 보면 최근 일주일 사이에 미국 달러 대비 원화의 강세와 호주달러의 약세가 급격히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원화의 강세와 호주달러의 약세가 겹쳐지면서 재정환율인 호주달러가 원화 대비 가치가 급격히 떨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0월 호주 환율 전망은?

 

위의 표를 보면 급격히 떨어지던 그래프가 둔화되거나 반등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추세가 반감되었기에 당분간은 현재의 기조가 유지가 될 것으로 볼 수 있겠네요.

 호주달러/원화 환율을 예측하기 위해서 주의 깊게 보아야 할 두 가지 지표는 달러 인덱스와 중국 위안화/미국 달러의 변화입니다. 달러 인덱스는 달러의 약세/강세를 알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이고, 위완화를 봐야 하는 이유는 원화는 국제 환시장에서 중요한 통화가 아니기에 중국 위안화의 영향을 많이 받아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달러 인덱스

 

 

 지속 하락하였던 달러 가치가 지난주부터는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하루 이틀 사이 추세가 둔화되기는 하였지만, 최근 8주 사이 최고점인 94.6까지 올라 있습니다. 위 표에는 나와 있지 않지 마나, 현재 자리는 지난 저점의 저항에 걸려있는 상태입니다. 이 지점을 뚫고 올라간다면 당분간 달러 강세는 지속될 것 같습니다. 

중국 위안화/미국 달러

 

 

위에서 이야기드린 것처럼 한국 원화는 위안화의 영향을 받습니다. 위안화가 강세면 한화도 강세, 위안화가 약세면 한화도 약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근 위안화가 강세를 유지하다가 최근 강보합인 상태입니다. 

 

 위의 표를 보면 앞으로 호주 환율이 어떻게 변할 것 같으신가요? 관련된 자료를 찾아보니 미국 달러/호주달러의 하반기 예측은 0.71~0.73 정도로 예측하는 자료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중 하나의 자료는 0.68 정도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측하는 자료도 있었습니다. 0.68이면 지난 6월 정도 수준으로 지난 6월이면 820, 830대 환율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달러 대비 한화는 1,200원대 였습니다.)

 

   저는 처음 호주 환율에 대한 전망을 하며 하반기 호주 환율은 840, 850원대를 예상하였지만, 지금은 그것보다 넓은 820원대에서 850원대까지 예상 범위를 넓혀서 보고 있습니다. 물론 범위를 벗어날 수도 있겠지만, 이 숫자를 중심으로 움직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다음주에는 다시 830원대로 진입할거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호주 환율에 대한 전망은  어디까지나 개인 적인 생각이기에 많은 자료를 찾아보시고 잘 대응하길 바라며, 하나의 참고자료로만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내용 추가 (2020/10/22)

 호주 환율이 현재 800원 초반대를 유지 하고 있습니다. 미국 달러 대비 호주 환율의 변동폭도 크지만, 무엇보다 원화의 강세가 주요 요인입니다. 원화의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사들이 많기에 이를 참고하여 대응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